프로세스 동작의 최소 단위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여러개의 쓰레드가 동작하는 환경을 멀티쓰레딩(Multi Threading) 이라고 한다.
멀티쓰레딩 사용 시 장점 : CPU 사용률 향상, 응답성 향상, 자원 효율성 증대
멀티쓰레딩 구현하는 방법
1. Thread 클래스를 상속받아 run()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 인스턴스 생성 후 start() 메서드를 호출하여 멀티쓰레딩 실행
2.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run()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 start() 메서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Thread 클래스 생성자에 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객체를 전달한 뒤
Thread 클래스를 통해 start() 메서드로 메서드 내에서 run() 호출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멀티 쓰레드 구현
1. Thread 클래스를 상속받는 서브클래스를 정의하는 방법
class MyThread extends Thread {
String name;
int count;
public MyThread(String name, int count) {
this.name = name;
this.count = count;
}
public void run() { // Thread클래스를 상속받은 뒤 반드시 run() 메서드 오버라이딩 필수!
for (int i =0 ; i <=count; i++ {
System.out.println(name + ": " + i);
}
}
}
class A {}
class YourThread extends A implements Runnable {
String name;
int count;
public YourThread(String name, int count) {
this.name = name;
this.count = count;
}
public void run() { // Runn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뒤 반드시 run() 메서드 오버라이딩 필수!
for (int i =0 ; i <=count; i++ {
System.out.println(name + ": " + i);
}
}
}
Thread t = new Thread(new YourThread(name,int));
|
cs |
쓰레드 제어
현재 실행중인 쓰레드에 대한 각종 제어 수행 가능
sleep() 메서드를 호출하면 현재 실행중인 쓰레드를 대기풀에서 재움
=> 파라미터로 밀리초 단위 시간 설정 가능하며, 시간이 만료되거나
interrupt() 메서드가 호출되면 대기풀에서 Runnable 로 이동
=> 우선순위가 낮은 쓰레드가 실행되지 못하는 상태(기아=starvation)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쓰레들을 일정 시간동안 재움(sleep)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1초마다 출력되는 타이머
class Timer extends Thread {
public void run() {
for(int sec = 0; sec<60 ; sec ++) {
try{
Thread.sleep(1000);
} catch(Interrupte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
|
cs |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rows 키워드를 사용한 예외 처리의 위임 (0) | 2020.07.07 |
---|---|
예외(Exception) (0) | 2020.07.06 |
정규표현식 (0) | 2020.07.06 |
StringTokenizer~format (0) | 2020.07.06 |
시간 관련 클래스 및 패키지 (0) | 202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