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Java56 반복문 while while문 for문과 마찬가지로 특정 조건식 결과가 true일 동안 반복 수행하는 반복문 for문과 달리 조건식 위치만 정해져있고, 초기식과 증감식 위치는 유동적 for문은 주로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 사용하며, while문은 주로반복 횟수가 정해져있지 않은 경우 사용 for문과 while문은 100%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더보기 초기식: while(조건식){ 조건식 결과가 true일 때 반복할 문장 증감식(반복할 문장보다 위에 위치 할 수도 있다) } int u =1; while(u 2020. 5. 26. 반복문 for 반복문 특정 조건에 따라 문장들을 반복 실행하는 문 for문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의 위치가 정해져 있어, 초보자가 익히기에 적합하다.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 주로사용 초기식에서는 반복 횟수를 판별하기 위한 조건식에서 사용될 제어변수를 선언하거나 초기화하는 문장을 기술 조건식에서는 반복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식의 결과가 ture/false가 되도록 증감식에서는 반복을 위한 조건식에 맞춰 제어변수가 변화하도록 증가/감소하는 문장을 기술 더보기 for(초기식;조건식;증감식){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일 때 반복 실행할 문장들 } for(int i =1 ; i 2020. 5. 26. 조건문 switch case 문 switch ~ case문 if문처럼 특정 조건에 대해 여러가지 판별을 수행하여 각각 다른 문장을 수행하는 조건문 => 단, if문과 달리 범위에 대한 판별 등이 불가능 switch문의 조건식에는 반드시 정수 또는 문자열(또는 Enum 상수)만 사용가능 case문의 값은 조건식 결과와 비교할 리터럴 1개만 명시 가능 일치하는 case문이 없을 때에는 default문을 찾아서 실행함 break 문이 없을 경우 다음 break 문을 만나거나 swtich 문이 종료 될 때 까지 현재 문장 아래쪽의 문장들을 조건식 결과와 관계없이 차레대로 실행함 if문과 달리 case 문끼리의 순서는 상관없이 값만 나열하면 된다. if문은 프로그램 실행 시점에서 실행할 위치가 결정되지만, switch ~case 문은 프로그램 .. 2020. 5. 26. 조건문 if 조건식 결과에 따라 실행할 문장이 달라지는 문법 -if문 계열과 switch ~case 문으로 구분됨 if문 - 가장 단순한 조건문 - 조건식 판별 결과가 true 일 때 특정 문장을 추가로 실행하는 if문 문장1: if(조건식){ 조건식 판별결과가 true일 때 실행할 문장들 문장2: } 문장3: => 조건식 판별 결과가 true일때 : 문장1 -> 조건식(true) -> 문장2 -> 문장3 => 조건식 판별 결과가 false일때 : 문장1 -> 조건식(false) -> 문장3 더보기 int num =4; if(num 더보기 문장1: if(조건식){ 문장2:조건식 결과가 true일 때 수행할 문장들 }else{ 문장3:조건식 결과가 false일 때 수행할 문장들 } 문장4: 조건식이 끝나고 실행할 문장.. 2020. 5. 26. 연산자 산술연산자(+,-,*,/,%) - 일반적인 사칙연산(+,-,*,/)과 나머지 연산자(%)로 구성 - 나눗셈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 간의 나눗셈 결과 중 몫만 계산하고, 나머지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 간의 나눗셈 결과 중 나머지만 계산함 산술 연산 수행 전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킨 후 연산을 진행함 규칙1. int형보다 작은 타입끼리의 연산 시 int형으로 자동으로 변환 후 연산 수행 ex) byte + byte =(int)byte + (int)byte = int ex) byte + short = (int)byte + (int)short = int 규칙2. int형 이상의 타입과 연산 시 피연산자 중 큰타입으로 변환 후 연산 ex) char + int = (int)char + int = int e.. 2020. 5. 25. 자바에서의 데이터 형변환(Type casting) 1. 묵시적 (암시적) 형변환 (=자동 형변환) -작은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를 큰 데이터타입으로 변환 하는것 -자바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형변환이 일어남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개발자가 신경쓸 것이 없음 2.명시적 형변환 = 강제형변환 -큰데이터 타입의 데이터를 작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작은 데이터타입의 표현범위보다 크므로 Overflow(넘침)가 발생할 수 있다. -Overflow 가 발생할 우려 때문에 자동 형변환이 일어나지 않음 => 코드 상에 오류가 발생하여 실행되지 않음 -반드시 형변환 연산자를 사용하여 작은 데이터타입으로의 강제 형변환을 수행해야함. => 우변(큰데이터타입)의 앞쪽에 '(작은데이터타입이름)' 형태로 명시해야함 => 명시적 형변환 후에는 overflo.. 2020. 5. 25. 이전 1 ··· 6 7 8 9 10 다음